PUKYONG

컨테이너 및 화물 운전자의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이 사고위험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mpact of Container & Freight Drivers' Cell Phones Use While Driving on the Risks of Traffic Accident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및 화물 운송에 있어서 화물 운전자가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이 사고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각 변수들이 사고위험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컨테이너 및 화물 운전자 285명 중 응답이 불성실한 15명을 제외한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서를 작성하여 본 연구에 활용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문응답으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통계분석 패키지 SPSS 12.0K를 활용하였고,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사고위험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이 교통사고 사고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주행 중 휴대전화 발신시간이 많은 운전자, 브레이크 제동 반응시간 지연이 되는 운전자는 교통사고 사고금액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으로 사고경험이 있는 운전자와 음주운전 경험이 있는 운전자, 휴대전화 사용금액이 많은 운전자, 기기조작이 미흡한 운전자는 속도위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반면에 블루투스 기기를 사용하는 운전자는 속도위반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으로 사고경험 운전자와, 음주운전 경험 운전자, 휴대전화 사용금액이 많은 운전자는 신호위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이 휴대전화 사용으로 사고경험이 있는 운전자와 음주운전 경험 운전자는 사고유발 건 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으로 브레이크 제동 반응시간 지연이 되는 운전자는 최근 5년간 휴대전화로 인한 사고 건 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운전 중에 휴대전화 사용은 운전자의 주의력과 판단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인지 및 행동 반응시간이 느려져 사고위험에 대한 대처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사고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컨테이너 및 화물 운전자는 우선적으로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을 자제해야 하며,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해 주행 중 조작상의 실수나 기타 위험요인에 대하여 그 위험정도가 대형사고로 이어진다는 것을 인지하고 컨테이너 및 화물 운전자들의 안전운전 의식 변화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기관이 컨테이너 및 화물 운전자의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에 대한 엄격한 단속 활동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I want to know how container and freight transport drivers who use cell phones while driving will affect the risk of an accidents. Also, I find out that the variables relate to the risk of an accident.
I did a survey of 285 truck drivers to find a correlation about using of cell phone while driving and its possible traffic accident rate during carriage of freight. I excluded 15 surveys which were not properly answered for this study.
I also have used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SPSS 12.0K windows for analysis that is based on collecting data. After I established them by evidences, we found out that using cell phone is going to raise moving violation rate rapidly.
First of all, a driver who uses a cell phone frequently or has slow braking reaction recompenses for a car accident a lot more than a driver who does not use cell phone or has quick braking reaction availability.
Second of all, a driver who has a car accident experience because of using a cell phone, has a drunken driving experience, pays cell phone bill more than average amount, or cannot handle machinery and tools well.
Those cases shows tendency to get more speeding tickets. On the other hand, a driver who uses Bluetooth wireless tool has fewer problems with speeding.
Third of all, a driver who has a car accident experience because of using a cell phone, has a drunken driving experience or pays cell phone bill more than average amount was tagged for going through a red light more often.
Fourth of all, a driver who has a car accident experience because of using a cell phone or has a drunken driving experience has a lot more than chances to be a cause of moving violation
Last of all, a driver has slow braking reaction has a lot more chances to be a cause of a cell phone related car accident.

Therefore, using a cell phone while driving is dangerous because it has negative effects for the driver’s visual attention, judgment, and cognition abilit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freight truck drivers are not supposed to use their cell phones while they are driving. They have to realize that using cell phone is going to be a main cause of a large scale car accident. And I also suggest that the traffic control agencies should exercise stricter control over using cell phone while driving.
Author(s)
박기종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컨테이너 휴대전화 사고위험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85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111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국제경영전공
Advisor
조찬혁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 목차 ⅳ
그림 목차 ⅳ
Abstract ⅴ

제Ⅰ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3
제3절 논문의 구성 4

제Ⅱ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휴대전화 사용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요인 5
제2절 휴대전화 사용의 위험성과 심각성 9
제3절 주요국가 휴대전화 사용 법적제재 현황 12

제Ⅲ장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14
제1절 연구모형 설계 및 가설 설정 14
1. 연구모형 14
2. 연구가설 설정 15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16
제2절 자료의 수집과 연구방법 19
1. 표본의 선정과 자료 수집 19
2.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 19
3. 자료의 분석방법 20

제Ⅳ장 실증분석 및 연구결과 21
제1절 표본의 일반현황 21
1. 응답자의 일반현황 21
2. 응답집단별 특성 25
제2절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29
1. 신뢰성 검증 29
2. 타당성 검증 31
3. 상관관계 분석 33
제3절 연구가설 검증 35
1. 회귀분석 결과 : 사고금액 35
2. 회귀분석 결과 : 속도위반 건수 37
3. 회귀분석 결과 : 신호위반 건수 40
4. 회귀분석 결과 : 사고유발 건수 42
5. 회귀분석 결과 : 최근 5년간 사고발생 건수 44
6. 회귀분석 종합결과 46

제Ⅴ장 결 론 51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51
1. 연구결과 요약 51
2. 시사점 52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54
1. 연구의 한계 54
2. 향후 연구방향 55

참고문헌 57
부록(설문지) 6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경영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국제경영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