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국적 고유가치에 의한 제품디자인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은 최근 제품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사용성과 기능성에 의한 독특한 한국적 가치와 관련된 요소를 발견함으로서 한국적 고유가치의 제품디자인 실체에 대한 규명을 시도한 것이다. 나아가 한국적 고유가치에 의한 제품디자인의 특징은 사용자의 행태와 제품의 기능적 요소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아래 사용자와 제품의 상호작용적 관계성을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한국사회와 문화, 민족적 기질에 의한 한국적 고유가치의 탐구와 고찰을 하였고, 이를 통해 제품디자인의 독특한 고유성에 대해 각 요소별로 정리하고 제품디자인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품디자인의 한국적 고유가치를 사용자(Man)-제품(Machine)-사용환경(Environment)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분석하여 제품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한국적 가치의 디자인인자와 요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핵심주제인 제품의 사용성과 기능성이 한국적 고유가치의 제품디자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된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평가대상과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빈도분석법(frequency analysis)과 분산분석법(analysis of variance)에 의해 한국적 고유가치에 의한 제품디자인의 사용성과 기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제품사용에 따른 한국인 특유의 융통성(融通性)과 변이성(變移性)에 따라 한국적 가치의 제품디자인 특성은 컨버전스 디자인(Convergence Design)의 속성과 디자인 메타포(Metaphor)의 경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둘째, 사용자(한국인)의 사용행태와 제품의 사용환경 요소가 작용하고 있는 제품디자인의 한국적 가치를 정리하고 체계화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향후 한국적 가치에 의한 제품디자인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문제를 도출하였다.
셋째,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 트렌드가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융통성과 응용력이 뛰어난 한국인 사용자에 의한 한국적 가치의 제품디자인은 글로벌 마켓을 주도할 수 있는 전략적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연구가 결과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Author(s)
권정일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한국적 고유가치 제품디자인 사용성 기능성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88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150
Affiliation
부경대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유상욱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연구범위 및 방법 4
1-3.연구목표 및 기대효과 8
II.한국적 고유가치의 탐구와 디자인론적 고찰 9
2-1.한국적 고유가치의 일반적 특성 9
2-1-1.한국적 고유가치의 정의 9
2-1-2.한국적 고유가치의 디자인적 속성 14
2-1-3.한국인의 민족 기질적 특성 19
2-1-4.산업사회에서의 한국적 고유가치 26
2-2.한국적 고유가치의 경쟁력과 디자인요소 29
2-2-1.한국 산업디자인의 현황과 한국적 고유가치 29
2-2-2.한국적 고유가치의 경쟁력 37
2-2-3.ND(Native Design)론의 한국적 디자인가치 47
2-­3.소 결 52
III.제품디자인의 한국적 고유가치 분석 53
3-1.사용 행태적 요인-사용자(Man) 53
3-1-1.융통성과 응용력-다용도성(Multi Usability) 53
3-1-2.키치(kitsch)와 버내큘러(Vernacular) 디자인 58
3-2.제품의 기능적 요인-제품(Machine) 61
3-2-1.제품기능의 융합화-다기능성(Multi-Functionality) 61
3-2-2.마케팅에 의한 컨버전스 트렌드 요인 64
3-3.사용환경에 의한 요인-사용환경(Environment) 68
3-3-1.한국식 개량화 요인 68
3-3-2.생활밀착형 창의성 요인 72
3-4.한국적 고유가치의 세계화 요인7 3
3-4-1.한국의 정신적 가치 73
3-4-2.한국의 자연주의적 감성 74
3-5.소 결 76
IV.사용성과 기능성에 의한 제품디자인의 한국적 가치 분석 78
4-1.제품디자인의 한국적 고유가치의 평가요소 78
4-1-1.평가대상의 설정 78
4-1-2.평가항목의 설정 79
4­2.한국적 고유가치에 의한 제품디자인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84
4-3.한국적 고유가치의 제품디자인의 실증적 분석86
4-3-1.조사 설계 86
4-3-2.평가 대상별 설문 결과 87
4-4.제품별 한국적 가치의 연구 분석결과 93
4-4-1.빈도분석에 의한 평가결과 93
4-4-2.일원배치법의 분산분석에 의한 평가결과 97
4-5.연구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103
V.결 론 108
참고문헌 111
ABSTRACT 114
부 록 117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