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스포츠 참여제약, 참여동기, 인지된 가치, 참여 후 행동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Research on Constraints, Motivation, Perceived value, and Post-behavior of Maritime Sports
- Abstract
- 이 연구는 부산(수영만 요트경기장, 송정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 다대포해수욕장)과 경남(창원, 진주, 사천, 거제도)을 직접 방문, 세일링요트 모터요트 수상스키 등 각종 해양스포츠를 이용하고 있는 참여자(동호인) 총 459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이뤄졌다.
신뢰성이란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이나 대상을 얼마나 일관성 있게 측정하였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안정성(st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예측가능성(predictability)이라고 표현한다. 신뢰성은 어떠한 측정대상을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경우 동일한 결과값을 얼마나 많이 얻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여러 번 반복 측정해서 얻은 측정 결과값들의 분산으로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 측정방법에는 재검사법, 반분법, 내적일관성 등이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내적일관성을 보기 위해 Cronbach's 값을 산출하여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 기법(Exploratory factor analytic technique)을 이용하여, 응답자 459명에게 참여제약, 참여동기, 인지된 가치, 참여 후 행동에 대한 문항을 varimax 방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값을 구해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해양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제약, 참여동기, 인지된 가치, 참여 후 행동의 관계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응답자들의 인구통계를 빈도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해양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제약, 참여동기, 인지된 가치, 참여 후 행동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해양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제약 요인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여동기가 인지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고, 인지된 가치가 참여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은 VIF지수를 통해 파악하였다.
따라서 통계프로그램을 SPSS 12.0를 사용하여 검토한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의 특성에 따라 참여제약, 참여동기, 인지 된 가치, 참여 후 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의 특성 중, 이용횟수가 주 2회, 직업은 기타, 월 소득이 높을수록 참여제약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지만 참여제약에는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참여제약은 이용횟수나, 이용시간에 따라 참여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직업이나 소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해양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서비스나 기본시설 및 편의시설의 확충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참여동기에서는 컨디션, 건강/체력, 즐거움, 기술발달에서 참여자들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났다. 해양스포츠를 이용하는 참여자들은 컨디션회복이나, 건강/체력이나 즐거움을 위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해양스포츠의 기술발달 등에 따라 해양스포츠를 이용했다. 이러한 참여동기는 해양스포츠가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해소 및 취미생활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참여자들의 인지된 가치가 높다는 것은 해양스포츠를 이용하는 참여자들이 해양스포츠를 통해 이익이나 혜택을 받게 됨을 나타냈다. 결국 해양스포츠의 참여자들이 해양스포츠의 참여를 통해 이익이나 혜택을 받는다는 것은 참여자들이 해양스포츠를 즐기고 스트레스를 해소 하는데 도움이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가치를 한 번의 혜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혜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 나가는 일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해양스포츠의 참여자들은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참여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지속적인 참여는 그냥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 자신의 참여욕구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해양스포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둘째,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이 느끼는 참여제약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내재적 제약이 참여동기에 많은 지장을 주고 있다. 내재적 제약은 상대적으로 불안정하고 가변적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기 쉬운데, 이는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을 강하게 느끼고 있는 개인은 일상으로부터의 탈피하고자 하는 동기나 개인의 스트레스해소를 위한 의욕 등이 강하다고 할지라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반대로 일상생활로부터의 탈피하고자 하는 동기가 강한 사람은 시간에 대한 제약이나 공간에 대한 제약을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다면, 해양스포츠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셋째, 참여동기는 인지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참여동기가 강한 개인일수록 인지된 가치도 높아진다. 컨디션 회복이나, 건강·체력, 즐거움을 위한 동기가 높은 개인들은 해양스포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 특히 컨디션회복을 하거나, 건강·체력이 좋아지고, 해양스포츠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해양스포츠를 통해 나온 인지된 가치는 참여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지된 가치가 높으면 참여 후 행동, 즉 재참여 의도나 구전의도가 높아진다. 참여에 대한 동기를 가진 참여자들이 해양스포츠 이용 후 혜택을 얻게 되며, 이러한 혜택을 얻은 참여자들은 지속적으로 해양스포츠를 이용하려 할 것이며, 이는 지속적인 참가로 이어진다. 개인적 참여뿐만 아니라 주위사람들에게 해양스포츠의 가치를 전달하고 해양스포츠를 이용하도록 권유하게 된다. 즉, 개인이 얻은 혜택에 대해 주위 사람들과 공유하기를 원하고 이는 구전의도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 Author(s)
- 이호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해양스포츠 참여제약 참여동기 인지된 가치 참여후 행동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90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165
- Department
- 대학원 체육학과
- Advisor
- 지삼업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연구 모형 및 가설 5
가. 연구모형 5
나. 연구 가설 6
4. 용어의 정의 8
가. 해양스포츠 8
나. 참여제약 8
다. 참여동기 8
라. 인지된 가치 9
마. 참여 후 행동 9
5. 연구절차 10
6. 연구 범위 12
II. 이론적 배경 13
1. 해양스포츠 13
가. 해양스포츠의 개념 13
나. 해양스포츠의 유형 15
다. 해양스포츠 현황 18
2. 참여제약 19
가. 참여제약 개념 19
나. 참여제약의 유형 21
3. 참여동기(motive) 26
가. 참여동기의 개념 및 특성 26
나. 참여동기의 분류 28
다. 참여동기 관련 선행연구 33
4. 인지된 가치 35
가. 인지된 가치의 개념 35
나. 인지된 가치의 측정 38
5. 참여 후 행동 40
가. 참여 후 행동의 개념 40
나. 참여 후 행동 관련 연구 45
III. 연구방법 47
1. 조사대상 47
2. 조사도구 49
가. 조사도구의 구성 49
3. 조사절차 52
4. 자료처리 52
5. 타당성 및 신뢰성 검정 53
가. 참여제약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54
나. 참여동기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57
다. 인지된 가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60
라. 참여 후 행동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61
IV. 연구결과 63
1. 구성개념의 기초통계량 63
2.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참여제약, 참여동기, 인지된 가치, 참여 후 행동의 차이 64
가.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참여제약 64
나.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참여 동기 69
다.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인지된 가치 76
라.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참여 후 행동 78
3. 참여제약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81
4. 참여동기가 인지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86
5. 인지된 가치가 참여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88
V. 논의 89
1.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참여제약, 동기, 인지된 가치, 참여 후 행동 89
2. 참여제약과 참여동기 94
3. 참여동기와 인지된 가치 96
4. 인지된 가치와 참여 후 행동 97
VI. 결론 및 제언 99
1. 결론 99
2. 제언 102
Abstract 103
참고문헌 107
부록 : 설 문 지 121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체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