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Proper Input for Loanwords in Optimality Theory
- Alternative Title
- 차용어 도출을 위한 최적성 이론 하에서의 적정 입력 형태 연구
- Abstract
- 최근 들어 우리사회에서 사용되는 영어 차용어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많은 언어학자들에게 연구할 대상으로 흥미로운 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차용어의 앞선 연구들에 따르면, 차용어는 모국어의 한 부분이며, 또한 그러한 주장과 차용어와 모국어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 McCarthy and Prince 1993, Prince and Smolensky 1993))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간주되고 있다. 최적성이론에서는 여러 후보들 중 적절한 입력부(input)를 선택함과, 여러 제약들의 순서가 가장 적합한 후보를 찾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차용어가 모국어의 한 부분이라고 주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용어에 적용되는 제약들의 순서가 모국어와 상이하거나 또는 차용어에만 적용되는 특별한 제약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입력부와 차용어, 모국어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제약들을 선별하여 차용어가 모국어의 한 부분임을 밝히고, 언어 간 차용어의 성격을 규정함으로써 한국어에 나타나는 차용어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제 1장에서는 현재 사회에서 사용되는 차용어를 소개하고, 이에 따른 여러가지 특성을 통해 차용어를 정의하였다. 특히, 한국어에 분포되어 있는 많은 차용어들을 두 가지 서로 다른 종류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설명하였다
제 2장에서는 Silverman(1992)과 Moira Yip(1993)(2004)의 차용어에 대한 선행연구와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의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하였다.
제 3장에서는 한국어와 영어의 일반적인 구조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한 여러 가지 음운현상을 설명함으로써, 이것이 차용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를 통해 설명하였다
제 4장에서는 차용어의 음운론을 설명하기 위해 Silverman(1992)의 모델과 연구내용들을 소개하고, 1장에서 소개했던 두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차용어에 따라 그 모델을 재도식화 함으로써, 이것이 영어를 차용할 때 어떻게 적용되는지 몇 가지 예와 함께 순차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적절한 입력부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제 5장에서는 Optimality Theory를 적용하여 차용어의 선행연구들을 소개, 분석하고 앞선 여러 장에서의 연구를 통한 적절한 입력부와, 모국어에도 적용되는 여러 제약들의 순서를 차용어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인, 차용어가 모국어의 한 부분임을 증명하였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거론되었던 내용들을 요약하여 설명하고 정리하였다
- Author(s)
- 이혜현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loanword 차용어 optimality theory 최적성 이론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992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682
- Alternative Author(s)
- Lee, HyeHy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Advisor
- John Stonham
-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
1.1 Definition of Loanwords
1.2 Nature of Loanwords
1.3 Types of loanwords: Visual versus auditory
1.4 Summary
Chapter 2. Previous Research
2.1 Earlier Studies: Silverman (1992) and Yip (1993)
2.2 Introduction to Optimality Theory
2.3 Summary
Chapter 3. Korean Phonology and English Phonology
3.1 Korean Phonology
3.1.1 Consonants
3.1.2 Vowels
3.1.3 Korean Syllable Structure
3.2 English Phonology
3.2.1 Consonants
3.2.2 Vowels
3.2.3 English Syllable Structure
3.3 Phonological Process
3.3.1 Vowel Insertion
3.3.2 Nasal Assimilation
3.4 Summary
Chapter 4. Description of Loanword Phonology
4.1 Analysis of Silverman (1992)’s Model of Loanword Phonology
4.1.1 Segmental Ambiguity
4.1.2 Different Types of Input
4.2 A New Proposal
4.3 Summary
Chapter 5. Optimality Theoretic Treatment of Loanwords
5.1 Introducing the Model
5.2 Previous OT Analysis: Kang (1996) & Kang (1995)
5.3 Previous OT Proposals: Lee (2005), Shin (2005)
5.4 Analysis with Examples
5.4.1 The Perceptual Input
5.4.2 Analysis with the Appropriate Input form
5.5 Summary
Chapter 6. Conclusion
References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